RB★YELLOW

드디어 대망의 인터뷰날이 되었다....
DS-2019와 DS-160 작성하느라 힘들었던 지난날..
인터뷰 날짜를 생각보다 빨리 잡을 수 있어서 다행이었다.
이전 글에도 적었지만 원래 12월 말 예약 기준 1월 말 인터뷰였는데, 다행히 몇 번 들락거리다 보니 1월 중순 날짜를 겟할 수 있었다.
이 때 절대로 예약을 눌러서는 안되고, 예약 누르기 전에 맘에 드는 날짜가 나올 때 까지 날짜만 보고 나와야 한다.
예약을 취소 후 재예약하는건 시스템에서 안되고, 대사관에 전화를 해야하는것 같다.
그리고 그 인터뷰를 최근에 보고 왔다.
 
시간 없으신 분들을 위해 사전 요약본을 먼저 써본다.

비자 발급 시 준비 서류 목록. 별표*는 필수서류
1. DS2019 (J1/J2) *
2. DS160 예약 확인서 (공통) *
3. 비자 인터뷰 예약 확인서 (결제 완료) *

4. SEVIS FEE 납부 확인서 (J/F) *
5. 유효한 유효기간을 가진 여권 *
6. 혼인관계증명서(상세), 배우자가 있을 시 필수
7. 가족관계증명서(상세), 자녀가 있을 시 필수
8. 재정 보증서
9. 통장 잔고 증명서 (영문)
10. 재직 증명서
11. 파견 보증서
12. 미국비자 사진 (혹시몰라 챙기지만 필요는 없을듯하다.)
13. Offer letter
14. 기타 내가 미국에 눌러앉지 않을 거고, 나는 미국생활하는데 충분한 돈이 있다는 걸 증명할 서류

미국 대사관 비이민 비자 발급 프로세스
1. 대사관 입구에서 줄서서 입문
2. 전자기기 보관함에 보관 후 보안게이트 통과
3. 2층 올라가서 DS160 예약 서류 확인받고 여권 뒤에 인터뷰 예약 관련 스티커 부착
4. 1차 영사에게 사전 서류 검토 받기
5. 2차 영사에게 비자 인터뷰 보기


미국 대사관 비자 인터뷰를 예약하면 예약 창에 인터뷰 시간이 작성된다.
우리의 경우는 7:30 였지만..
수많은 후기들에서 하나같이 하는 말 "예약시간은 의미없고, 대사관 입장 순서로 인터뷰 순서가 결정된다."
그리고 이것이 사실이다.
대사관 입구에서 설명해주시는 분이 대놓고 이야기 하신다.
 

"인터뷰 시간은 그냥 대사관 편의 상 구분지어 둔 거고, 실제 인터뷰는 여기 줄 서신 순서대로 보시는 겁니다.
인터뷰 예약 시간보다 이르거나 늦거나 아무 상관이 없어요. 2시간 차이가 나도 상관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최대한 덜 기다리고 추운곳(더운곳)에서 떨지 않으려면 그냥 최대한 빨리 도착해서 줄서는게 장땡이다 ㅠ
나는 6시 45분쯤 대사관 앞에 도착했는데, 그때 이미 앞에 15명 정도가 줄을 서서 대기하고 있었다....
그리고 대사관 직원들 아직 출근도 안함 ^^,,
7시쯤 되니까 입구 직원들이 출근했고, 줄을 서있으려니 10분쯤에 담벼락 옆으로 가라고 안내를 해주셨다.
거기에 히터랑 모니터랑 있긴 한데... 히터를 엄청 나중에 틀어주심..
그리고 입장은 거의 7시 20분쯤 시작한 것 같다.
 
대사관에 가면 입구가 어디인지 당황할 수 있는데, 동서남북 기준으로 말하면 남쪽에 있는 입구가 비자인터뷰 입구이다.
호옥시 미국 시민권자로 시민권자 업무를 보고 싶다면 대사관 운영시간이 8:30 이니, 그 때 이후로 오면 된다.



빨간 화살표로 표시한 곳이 입구. 왼쪽이 광화문 대로변, 오른쪽으로는 종로구청이 있다.

 
우리는 차를 가지고 갔고, 차는 종로구청에 주차했다.
총 2시간 정도 걸렸는데, 나올때 주차비는 천원 냈다..!
최초 10분 천원, 이후 5분당 추가요금이 있었는데, 이르게 간 덕에 주차요금이 적게 나온듯. (나올 때 시간이 9시 9분이었다.)
9시부터 체류시간당 주차요금을 내는 것 같았다.
 
처음에 여권과 비자 인터뷰 예약 종이를 준비하라고 하신다. 해당 서류를 준비하고 순서를 기다렸다가 안에 들어가면, 핸드폰 등 소지품을 맡길 수 있게 되어있다. 그리고 맡긴 소지품에 대한 소지품 태그를 주시니 그걸 소지하고 있다가 나갈 때 태그를 내고 소지품을 돌려받으면 된다.
 
그리고 절대절대절대 가지고 들어오면 안되는 것들을 가지고 오지 말자.
노트북, 아이패드, 각종 전자기기 (이어폰과 스마트 워치까지는 OK), 그리고 화기용품들 특히 라이터, 전자담배 절대 금지이다.
괜히 들고 줄섰다가 빠꾸먹어서 급하게 지하철역 보관함에 넣어놓지 말고, 웬만하면 대사관에는 비자관련 서류+핸드폰 정도만 들고 가자.

그리고 또 첨언할 것은, 필수 서류와 옵션서류를 적절히 잘 챙겨가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가족을 동반하고 출국하는데 가족이 내 비자에 dependent로 등록되어 가는 경우 (즉 가족 개개인이 별도의 각자 비자를 받는게 아닌, 내 비자에 딸린 비자를 받는 경우)
‘혼인관계증명서 (상세, 국문)’ 와 ‘가족관계증명서 (상세, 국문)’ 을 꼭 챙기자.
내 경우 가족관계증명서를 영문으로 뽑아서 갔는데, J1 비자 동반자로 배우자가 있었더니 ‘혼인관계증명서’ 가 필수 서류라면서 빠꾸 먹었다…ㅠ
첨에 증빙서류 미비로 인터뷰 영사도 만나기 전에 빠꾸먹으면 멘탈이 흔들리므로… 가능한 필요서류는 다 준비해서 가자.
물론 저런 민원서류는 옆에 종로구청 가서 끊어오면 되는데, 그만큼 비자 인터뷰 줄이 내 앞으로 길어지므로 웬만하면 한큐에 다 할수 있도록 하자.

대사관에 처음 입문하면, 전자기기를 다 반납하고 공항 보안게이트 같이 생긴 보안 게이트를 통과한다. 여기부터는 핸드폰을 쓸수 없다.
비이민비자는 2층으로 올라가라고 안내를 받고, 2층으로 올라가면 입구 바로 옆에서 비자 인터뷰에 필요한 서류를 체크하고 여권에 비자 인터뷰 예약 DS160 바코드를 출력해서 붙여준다.

이 1차 서류 정리를 끝낸 후 초록색 줄을 서서 1차로 한국인 영사(?) 분에게 필수 서류를 점검받는데 이 때 가족관계증명서 등이 필요하다.
만약 여기서 서류가 부족하면 몇시까지 다시 무슨 서류 받아서 오라는 종이를 주고, 그 전까지 오면 인터뷰 예약이 유효하다고 한다.
첨에 이 종이 받고 이게 레터인가 싶어서 멘붕왔는데… 다행히 이건 레터는 아니다.
만약 여기서 서류를 보완해서 오라는 이야기를 들으면, back 해서 1층에 내려가 사정을 설명하고 종로구청 다녀오면 된다. 물품보관 태그는 그대로 가지고 있으므로, 나중에 다시 대사관 입문할 때는 줄을 서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2층 올라와서 바로 초록 줄에 서있으면 된다. 굳이 여권에 인터뷰 예약 스티커 붙이는 과정을 반복할 필요 없다. 나중에 대사관 입문하면 2층 올라가는 곳도 줄이 늘어서있다..

서류를 1차 점검받은 이후, 2차로 이제 영사 인터뷰줄에 서면 된다. 이건 파란줄이다.
여기부터 인고의 시간.. 영사들이 하나 둘 출근하기 시작한다. 출근은 거의 8시쯤 한듯 -_- 이럴거면 대사관 문은 왜 7시20분에 여는지..
줄을 서서 기다리면서 내 앞에 서신 분들의 인터뷰 결과를 귀동냥 할수 있다.
왜냐면 인터뷰 줄은 마치 은행창구마냥 오픈된 곳이고, 여기서 인터뷰를 순서대로 보기 때문에! 줄서있으면서 다른사람들의 구구절절 사연을 다 들을수 있다…
그리고 인터뷰 마치고 가는 사람들의 표정만 봐도 합/불이 다 보임.😂

내가 인터뷰 본 날은 내 앞에 여러 사연의 사람들이 있었다.
미국 회사의 하청업체로 미국에 나가서 일해야 하시는 분. 이분은 영어가 안되셔서 통역을 불러서 인터뷰를 보셨는데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었지만 비자는 합격을 받으신 듯 하다.
나처럼 J1으로 방문연구원 나가시는 교수님(추정). 이분은 인터뷰는 금방 끝난거 같은데 뭔가 전산처리 오류가 있어서 기다리시다 비자 합격 받고 나가셨다.
미국 입국을 희망하는 외국인 가족. 이분들은 비자 인터뷰예약을 오늘은 가장만 하고 아내분과 아이는 인터뷰를 다른날로 예약하신거 같은데 같이 왔다. 비자 합격 여부는 잘 모르겠는데 영사가 반복적으로 아내와 아이는 오늘 비자를 받을수 없다만 이야기하신게 기억에 남는다.
그리고 내 앞에앞에 서계시던 J1인턴 (추정) 분. 이분은 영사가 질문 딱 2개 물어보더니 비자거절을 때리는걸 눈앞에서 목격했다. 왜 떨어졌냐 물어봐도 ’그 종이에 (레터) 사유 적혀있으니 봐봐‘ 라고만.. 아마도 사전 신청 서류에서 이 회사에서 이 사람이 일하는 타당성이 영사에게 잘 안보인게 아닐까 추정. 이 영사분이 연속으로 2명을 비슷하게 거절때리는걸 봐서 ’이 영사만 아니어라..‘ 라고 내심 빌게 되었다.ㅎㅎ;

그리고 대망의 내 차례…
내가 받은 질문은

  • ** 회사 다니네?
  • 대학원 하러 가는거야?
  • 가서 어떤 연구 할거야? << J1 방문연구원의 경우 필수질문인듯
  • 회사에서 펀딩해주는거야?
  • 정부에서 펀딩해주는건 없어?


요 5개가 전부였다.
내 경우.. 다니는 회사에서 파견 형태로 보내는 방문연구라, 회사 지원임이 확실하니 몇가지만 적당히 물어보고 통과시켜 준 듯 하다.
같이 회사에서 파견나가는 다른 분들 질문 리스트들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은데, 다른분들은 ‘파견 종료 이후 회사 의무근무 기간이 있느냐, 있으면 얼마나냐’, ‘너가 다니는 회사 이름을 정확히 말하고, 몇년 근무했는지 말해봐’ 이런 질문을 받았다고 한다.
내 인터뷰를 담당한 영사가 ‘대학원과정이냐’ 고 물어봤는데 이게 좀 함정질문인가.. 싶기도 하다.
영사라면 J1비자가 대학원 공부하는 F1과는 다른걸 나보다 더 잘 알텐데… 아니면 회사지원 연구 한다고 하니까 회사에서 대학원 보내준다고 생각했나?
근데 그렇더라도 J1비자인걸 뻔히 봤을텐데… 미슷헤리 하다. ㅎㅎ;

 → 이건 J1비자에 학생도 신청할 수 있어서, 학위를 위한 공부과정인지 단순 방문연구자인지 물어본것으로 추정된다. 몰랐음 ㅎㅎ 근데 학생비자는 F1일텐데... J1으로 가는 학생은.. 교환학생인가?


그리고 정부펀딩 없다고 하니 2년 의무귀국거주 룰 설명을 하지 않았다. DS2019에도 해당 없음으로 체크되었다.
이렇게 비자 인터뷰는 마무리.


그리고 비자 인터뷰 결과는 바로 그자리에서 알 수 있지.
자 그 결과는..!
 


Approved 되고 약 이틀 뒤 Issued 로 변경되었다.
Issued 로 변경되고 다음 날 비자를 배송받았다.

화요일 Approved, 목요일 Issued, 금요일 배송 완료.

비자는 착불로 배송되고, 인당 20,000원이라는 사악한 금액을 내야한다..
비자인터뷰 때 낸줄 알았는데 찾아보니 안냈음 머쓱타드 ^^;
집에 사람이 없어도 배송기사님이 알아서 적당히 잘 배송해주신다.
그래서 이렇게 맘졸이는 비자 발급 성공기를 올려본다… 이제 미국생활 본격 준비!

드디어 여기까지 왔다...

DS-160 작성에 너무 많은 체력을 쓴 나머지

비자 발급 수수료는 다음날에 하게 되었다. ㅎㅎ

 

비자 발급 수수료를 내는 곳은 이곳이다.

USTravelDocs 이 사이트에서 비자 수수료 납부를 위해 계정을 생성해야 한다.

 

요기서 우상단의 "비자 로그인" 을 누르거나

 

아래쪽에 있는 "여기" 를 눌러서 계정 생성을 진행한다.

 

이후는 단계별 절차를 진행한다.

참고로 이 계정 생성 페이지도 오랫동안 (체감상 1분?;) 로그인 하고 아무것도 안하면 만료되므로..

뭔가 새로 시작하려면 F5 누르고 시작하는것을 추천한다. -_-;;

그지같은 사이트..

 

들어가면 아래와 같다.

가입했다면 로그인, 가입하지 않았다면 Sign up now

 

처음 들어가면 '신규 신청하기' 항목이 있을 것이다. 나는 하던게 있어서 이어서 신청으로..

 

처음에 들어가면 여권에 적힌 개인 정보를 입력하고 "제출하기" 클릭

 

자신의 상황에 맞게 입력 후 제출하기 클릭

'비자 카테고리' 에 동일한게 두개 있고 하나는 'Appointment Only', 다른 하나는 'Interview waiver' 가 있다.

Interview waiver는 인터뷰 면제 란 뜻이므로, 본인이 인터뷰 면제에 해당하는지 확인 하고 클릭.

그 외는 Appointment only.

 

이후에 동반자 입력하는 곳이 나오고..입력하다가..또 timeout...

그놈의 타임아웃 -_-

특히 이 사이트는 타임아웃이 발생하면 한동안 접속 자체가 안된다.

한 5분 정도 기다렸다가 새로고침 후.. 다시 로그인... 이짓을 또 반복......

따라서 DS160 작성 때 저장해 둔 영문주소와 여권정보를 아예 txt 파일에 저장해뒀다가, 복사/붙여넣기 하는걸 추천한다 ㅠ

확인하는데 시간 또 잡아먹기에 흑흑

 

난 동반인이 있어서 두 번 입력할 생각하고 내 신청서를 따로 캡쳐하지 않았는데,

사이트가 바뀌어서 동반인까지 한번에 입력 가능하다.

절차는

 

내 정보 입력 > 비자 정보 입력 > 서약 몇개 "예" 하고 > 동반인 정보 입력 > 동반인 비자 정보 입력 > 동반인 비자 수령 방법 선택 (이게 먼저 나온다) > 이후 동반인 리스트 관리에 등록한 동반인이 뜬다. 동반인이 많은 경우 X n번 반복.. ㅋㅋ > 다 끝났으면 제출 클릭 > 내 비자 수령 방법 선택 > 결제 금액 확인 > 결제방법 선택 (나는 Credit card로 했다.) > 결제 후 인터뷰 예약 

 

금액 사악한거 보세요.. 환율 실화??

대사관 환율은 현재 환율에 걍 백원단위 올림으로 계산하는 듯 하다..

고환율 사태에... 정신을 차릴수가 없구만...

 

그리고 비자(여권)를 택배로 수령하기 하면 착불로 20,000원/개 또 지불해야 한다. 참고용.

그리고 이 글을 쓰는 24년 12월 23일 기준, 가장 빠른 인터뷰 날짜는 1/21.

 

날짜를 클릭하면 가능한 space 가 뜬다.

 

어차피 인터뷰 시간은 대사관 도착하는 순서대로 라고 하니, 원하는 시간대가 없더라도 원하는 날짜에 space가 있다면 그냥 무조건 신청하자.

인터뷰 날짜는 거의 신청일로부터 한달 뒤.. 라고 생각해야 할거 같다.

 

그리고 내 경우, J1으로 본 업무 출국 전 사전 준비 출국을 할 수 있는데, 이것때문에 비자를 언제 받아야 하는지 고민이 되었다.

솔직히 가장 빠르게 받는건 1/21 인터뷰 하고 그 다음주인 27일에 여권을 받는 건데, 25년도 기준 1/28~30 이 설 연휴라;; 일단 31일 까지 여권을 받을 수 있는지 모르겠다. (비자 발급에 얼마나 걸리는지 감이 안잡힘, 검색하면 거의 비자 자체는 하루면 되고 3~4일이면 받는거처럼 나오는데, 미준모에서는 apporved → issued 로 바뀌는데도 시간이 며칠 걸렸다고 하는 경우도 있어서..) 그리고 2/3~8에 미국 출국 (ESTA)을 계획하고 있어서, 만약 비자가 issued되었을 시 J1으로 출국하지 않고 ESTA로 출국하고 싶은데 그것이 가능한지를 알 수 가 없어서 좀 고민이 되었다. 

 

찾아보니 J1 받고 ESTA로 입국 가능하고, 이 경우 출입국관리국 직원에게 잘 설명하면 된다는 이야기가 있었다.

> 고급두뇌를 위한 하이브레인넷(hibrain.net) 

그러나 만약 2/3 출장 계획했는데 그 전까지 여권이 안올 경우.. 그리고 뭔가 내 설명이 부족해서 J1으로 미국 입국 처리 될 경우 한국에 다시 돌아오는게 번거롭기에.. 그냥 안전하게 (?) 2월 중에 비자 인터뷰를 받고 여권을 받는 쪽으로 마음이 기울었다.

그러면 ESTA 발급 후 출국 → 돌아와서 바로 비자 인터뷰 → 비자 받고 출국 준비 할 수 있을듯하다.

 

휴,, 이제 또 한개의 산을 넘었구만.....

다음 산도 잘 넘겨야지!


이후 추가: 예약을 fix 하기 위해 다시 사이트에 들어갔더니, 예약가능 일자가 변경되었다. 1/21 이전 날짜가 새로이 생겨서 그 날로 예약했다! 예약을 확정 하기 전까지 인터뷰 가능 날짜의 변동이 좀 생길 수 있는 것 같다. (취소 등) 만약 원하는 날짜가 없다면 새로고침을 계속 해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

그러나 예약을 한 번 fix 하면 변경할수 있는지는..모르겠다. 찾아보니 변경할 수는 있는 듯 하다.

이제 대망의 DS-160 작성...
작성에 앞서서 많은 블로거들이 강조한 "임시저장(중간세이브) 꼭 하세요!!"
나도 다시 한번 강조해본다. ㅎㅎ
20 분이라는 제한시간이 짧다고들 하는데 대체 얼마나 작성할게 많은건지;;;
그럼 작성 시작해보자.
 
DS-160은 여기서 작성한다.
Nonimmigrant Visa - Instructions Page

 

Nonimmigrant Visa - Instructions Page

- SELECT ONE - ALBANIA, TIRANA ALGERIA, ALGIERS ANGOLA, LUANDA ARGENTINA, BUENOS AIRES ARMENIA, YEREVAN AUSTRALIA, MELBOURNE AUSTRALIA, PERTH AUSTRALIA, SYDNEY AUSTRIA, VIENNA AZERBAIJAN, BAKU BAHAMAS, NASSAU BAHRAIN, MANAMA BANGLADESH, DHAKA BARBADOS, BRI

ceac.state.gov

 

위 페이지에 들어가서 상황에 맞게 입력하고 
신규 작성이라면 "START AN APPLICATION"
기존에 작성한 것을 이어서 할 생각이면 "RETRIEVE AN APPLICATION" 클릭하여 작성한다.
 
APPLICATION ID는 반드시 어딘가에 메모해 두어야 한다. 이후 이어서 작성에 필요하다.
 

Application ID 메모 후 Security Question 답하고 Continue
작성해야 하는 질문 리스트;

 
작성 항목에 대한 내용을 다 적기엔 양이 너무 많은것 같고;;
항목에 대해서 설명해 둔 참고한 곳을 소개한다.
 
미국 학생 비자 신청 새로운 DS-160 작성방법 - 비자 발급 필요서류 - 2010 GPT
[미국1년] 준비과정 3. J1 및 J2 비자 신청을 위한 DS-160 작성과 비자 수수료 납부
DS-160 신청. << 이분 블로그가 하나씩 다 캡쳐되어 있어서 보기 좋습니다. 추천!
 
 
참고로 작성하면서 다섯 번쯤 timeout 이 발생하였다...
슬슬 빡침;;
조금만 활동이 없어도 timeout이 되니 중간중간 뭔가 입력하든가 클릭을 해줘야 한다.
보니까 계속 클릭하고 있어도 그냥 지정시간이 지나면 timeout이 되는것 같다.
security 질문에 No No No 만 클릭하고 있었는데도 time out 발생;
그러니 중간중간 아래의 "Save"를 꼭 눌러주자.
 
사전에 아래 정보들을 정리해서 가지고 있으면 빨리 작성할 수 있을 것 같다. 
아니.. time out 안걸리려면, 미리 어딘가 정리해두고 복사/붙여넣기 하는게 좋다 ㅠ
Time out 걸리면 🐶빡침;;
 

1. 가는 학교 (초청지) 의 주소
2. 학교 담당자 이름/전화번호 (US 현지 연락처 입력에 필요, 없으면 모름으로 체크 후 학교 명만 기재하는것도 OK)
3. 과거 미국 방문했던 이력
- 최대 5개까지 입력된다. 5개 이상이라면 5개까지는 작성 필요
4. 미국 비자 받은 적이 있다면, 가장 최근 비자의 해당 정보 (ESTA 제외)
5. 부모님 영문성함 및 생년월일 (모른다고 체크해도 되는데, 가능하면 여권성함과 동일하게 기재)
6. 배우자/자녀 등 가족 영문성함 및 생년월일 (여권상)
7. 고등학교/대학교/이후 학력이 있다면 대학원 입학/졸업 일자
- 비자 인터뷰 후기 보니까 이걸 제대로 다 안써서 인터뷰때 질문받았다는 사람을 보았다. 귀찮다고 스킵하지 말고, 고등학교부터 작성하자.
8. 이전에 다닌 회사 정보
   - 이전에 다닌 회사 정보는 다행히도 max 2개까지만 입력되니 2개만 준비한다. 
9. 미국 체류 시 재정보증자 정보 
   - 내 경우 회사에서 재정보증을 하여서 "Present Employer" 클릭으로 해결되었는데, 그 외의 경우 재정보증 정보를 입력해야 한다.
   - 동반자의 경우, Present Employer 를 입력하는것이 말이 안되는것 같아서.. (동반자의 회사에서 지원받는 것이 아니므로) "Other Company"를 선택하고 내가 다니는 회사 정보를 입력해주었다. 귀찮지만.. 확실하게 하는게 좋으므로.

 

캡쳐의 맨 마지막 항목

쓸게 짱많고... 중간에 잘 튕기고... 해서 작성하는데 2시간 걸린듯;;
J1만 좀 빡세다니 J1 작성 후에 J2는 금방 할듯..
J2도 직장을 다녔더니 쓸게 많아서 1시간반 걸렸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