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미국생활 준비] 집 계약하기 - 얼바인 컴퍼니 Irvine Company Apartment Homes
이번 미국 생활을 위해 사전에 출장을 나갔었고, 그 때 이곳저곳 집을 돌아봤었다.
그때 돌아봤던 집의 기록은 다음에 한번 정리해보고 ㅎㅎ 이번엔 그 중에 고른 'Irvine Compay'의 아파트 계약과정을 기록해 보고자 한다.
들어가기 앞서서, 미국의 아파트들에 대해서 간단히만 설명하면, 미국은 아파트가 한국 아파트처럼 각자 분양받아서 관리하는게 아니라, 건설사에서 아파트 단지를 짓고 자기들이 세입자를 받으면서 단지 전체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그래서 우리로 치면 관리사무실 역할을 회사가 대신 해준다. 일체의 레지던스 VOC 등을 처리해주고 조경도 관리하고 등등..
따라서 집주인도 아파트 관리회사고 관리자도 아파트 관리회사다.
미국에 큰 아파트 회사들이 몇 개 있는데 그 중 하나가 'Irvine Company'다.
Prometheus Apartments도 큰 회사인거 같은데, 이 회사 것은 살아보진 않아서..ㅎ
이 두 회사가 좀 규모도 있고 관리하는 아파트들이 많고, 나머지 회사들은 좀 중소회사인것 같다.
그리고 중소회사들은 외국인들의 입주에 까다롭게 굴 때가 많다고 하니 이 점도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우선 얼바인 컴퍼니 아파트를 투어하고 나서, 내가 입주하고자 하는 날짜에 가능한 방들을 서치해본다.
가능하면 내가 본 방에 입주하면 좋겠지만... 좋은 방은 내가 볼 수 있는 날짜가 되기 전에 나가기가 일수다?!
그래서 정말 '이 방이다!' 싶으면 그냥 계약을 진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특히 신학기가 시작되는 3~4월, 8~9월에는 방값도 올라가고 방도 빨리 나가는 듯 하다.
저 시즌을 피해서 방 구하길 추천 ^_ㅠ..
원하는 위치의 아파트 단지를 골라서 해당 단지의 Availability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방의 간략한 상태와 단지 내 위치확인, 그리고 "Apply Now"를 눌러 Apply를 할 수 있다.
아 그리고 미국에서는 "x 평형 A타입 집" 과 같은 의미로 "Plan"이라는 용어를 쓴다.
Plan이 같으면 구조와 넓이가 (거의) 같다고 보면 된다.
집의 방향과 같은 마이너한 사항들은 다를 수 있다.
집을 분류하는 기준은 보통 '방이 몇 개냐, 화장실이 몇 개냐' 로 구분한다.
Den이라는 특이한 구조도 있는데, Den은 창이 없는 방 정도로 이해하면 될 것 같다.
뭐 부동산적으로 "Room"과 "Den"을 구별하면 또 기준이 까다롭던데 그렇게까지 우린 자세히 알 필요는 없으니... 대충 우리 생각으로 Room은 창문 있는 방, Den은 창문 없는 골방 쯤으로 생각해도 된다.
여기서 저 "Apply Now"를 클릭하면 언제 어느 방에 입주하고 싶은지 간단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모두 입력이 완료되면 "Quote"가 생성된다.
Quote은 우리말로 하면 견적서.
여기서 이제 최종적으로 '이 집이야!' 라는 결정을 내리면 Continue를 눌러 Apply를 시작한다.
참 미국에서는 아파트 입주 시에, 아파트 관리 회사에 '나 이런사람인데 너네집에 입주해도 돼?' 를 신청하는 Apply를 해야하고, 아파트 회사에서 다각도로 검증 후에 'ㅇㅋ 너네 입주 가능' 하고 승인을 내어줘야 입주 가능하다.
보통 다각도 검증 프로세스는 '얘들이 얼마나 월세 안떼먹을지' 를 주로 심사한다. ㅎ
미국 내 credit이 없는 외국인의 경우 accept가 되더라도 보통 한달 치 월세를 추가로 내야 들어갈 수 있는 것 같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 Apply 할 때마다 Apply Fee가 있으므로 지원은 신중하게...^_^;;;
아마 이 Fee는 '너네가 우리 아파트 들어오는거 괜찮은지 검토하는 검토비용' 인듯 하다.
이름과 생년 등과 같은 기본 정보를 작성한다.
만약 이 아파트에 여러명이 살 거면 여러명 분을 모두 작성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키 한개만 준다... 그리고 사람 수에 따라서 유틸리티 등의 비용처리가 다르고, 나중에 문제의 소지가 될 수 있으므로 같이 살 사람이 있다면 모두 추가해준다.
Guest인지 Resident 인지 구분하는 기준은 약 7일 이상 머문다 하면 Resident로 생각하는 듯 한데.. 그냥 상식 선에서 생각하면 될 듯 하다.
그리고 각 Plan 마다 available한 사람 수가 정해져 있으므로, 그것도 고려 필요하다.
SSN은 초기 미국 정착러이면 없으니 NO
그 외 항목은 본인에 맞게 입력해 주면 된다.
여기에도 핸드폰 번호가 필수이기 때문에 미국 핸드폰 번호를 먼저 개통하는 것이 필요하다.
폰 번호 만들기는 아래 포스팅 참조.
RB★YELLOW :: [2025 미국생활 준비] 휴대폰 개통 - 민트모바일
[2025 미국생활 준비] 휴대폰 개통 - 민트모바일
이제 본격 미국살이 준비를 하고 있다...다음주에 미국에 사전방문해서 여러 일들을 처리할 예정인데, 뭐든 미국에서 하려고 하면 휴대전화 번호가 필수이다.그래서 부랴부랴 한국에서 휴대폰
albi.tistory.com
이후 정보를 확인하라는 창이 뜬다. 정보 확인 후 "continue" 클릭
애완동물 중 개는 특정 견종은 회사 방침에 따라 불가하다고 나와있다.
주로 맹견들은 안된다고 되어있다 ㅎㅎ
본인 상황에 맞게 입력 후 continue
미국에 소득이 없고 첫 이주라면 이 소득증빙이 매우 까다롭다. 내 경우 미국의 '사바사' 를 처음 경험한 스텝인데, 다른 사람들은 다 동일한 서류 (회사의 재정보증서, 1년치 소득증빙) 로 다 통과되었다고 했는데 나는 그걸로는 부족해서 결국 마통을 뚫고, 대출을 한도까지 다 받고, 그걸로 통장 잔고를 만들고, 그 서류로 통과되었다.. 피말리는 프로세스 -_-;;
그리고 apply가 완료되면 Irvine Company로부터 Leasing Concierge 메일이 온다. 위의 서류들은 그 메일의 회신으로 보내주어도 되고, 위 시스템 통해서 업로드 해도 된다. 시스템 업로드 시에는 이게 프로세스가 진행되고 있는지 Feedback이 따로 없기 때문에, 메일 회신 하는걸 추천한다..
이 글을 쓰기 위해 이전에 주고받았던 메일을 확인해보니, 일단 이렇게 Apply Fee를 결제한 후에는 시스템 상에 내가 신청한 방이 사라진다. 그 점도 메일에 문의했었는데, 일단 apply fee 결제 후에는 다른 사람이 apply 하지 못하게 시스템에서 홀딩하게 된다고 한다. 그 holding deposit도 같이 결제된거라고 하니 아파트 홈페이지에서 내 방을 찾을 수 없더라도 Application 만 잘 살아있다면 너무 걱정하지 말자!
그러고 나면 RealPage라는 곳에서 내 신용등급 등을 조회한 문서를 작성해서 보내준다. 뭐 여기저기 서명하라는 게 있으니 동의 서명 해주고 (대충 신용등급 조회를 위해서 개인정보 쓸거야 어쩌구 이런 내용이었던거 같다.) 기다리면
쨘!! 하고 심사 결과가 나오면 좋겠지만 내 경우 재정보증이 부족해서 추가 증빙서류를 정해진 기한까지 제출하지 않으면 apply가 취소된다고 메일을 받았고.. ㅠ그래서 급한 맘에 마통으로 때웠다.... 흑흑
그리고 다시 기다림....
그리고!!!!
Approved!!
비록 한 달치 월세를 deposit으로 가져가긴했지만 ㅎㅎ; 이건 미국 내 신용이 없어서 어쩔 수 없다...
[2025 미국생활 준비] 휴대폰 개통 - 민트모바일
이제 본격 미국살이 준비를 하고 있다...
다음주에 미국에 사전방문해서 여러 일들을 처리할 예정인데, 뭐든 미국에서 하려고 하면 휴대전화 번호가 필수이다.
그래서 부랴부랴 한국에서 휴대폰 개통부터 했다. 개통은 배송도 필요없고 어렵지 않다.
우선 미국에도 알뜰폰 통신사가 있고, 유학생들 및 단기 거주자가 제일 많이 하는게 '민트모바일' 인것 같다.
그래서 나도 그냥 민트모바일로 개통했다.
만약 최신 휴대폰을 사용한다면, 듀얼심 (eSIM) 사용으로 한국폰/미국폰 모두 한 전화기에서 연락을 받는 것이 가능하다.
나는 실물 심은 한국 폰으로, 미국번호는 eSIM으로 받아서 한 폰에서 두 전화번호 모두를 받고자 한다.
민트모바일 주소는 아래와 같다.
Mint Mobile | Wireless that's Easy, Online, $15 Bucks a Month
들어가면 신규가입자 한정으로 $15 에 가입 가능한 plan을 대문짝만하게 홍보하고 있다.
나는 평소 데이터를 많이 쓰는 편이라 (앱 업데이트도 데이터로 함;) unlimited로 신청했다.


홈페이지를 보면 무슨 특별 한정 이벤트인양 적어놨는데, 다른 블로그들 보면 (오래된 글들도) 다 이 이벤트를 하는걸로 봐서 그냥 신규 유저라면 다 신청할 수 있는 이벤트인거 같다.
만약 3일이 지나서 이 이벤트가 안뜬다? 그럼 한번 캐시 삭제 후 재접속해보시라. 분명 뜰거다 -_-;; (해보진 않음)

Pick your phone type항목에서 현재 내가 사용하고 있는 핸드폰 기종을 입력하면, 해당 핸드폰이 eSIM 설치 가능한지 가능여부를 알려준다.
아이폰의 경우 14 이후 모델은 모두 eSIM을 지원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원하는 옵션 선택하고 "Add to cart" 클릭

장바구니 내역을 다시 한 번 확인 후 Proceed to Checkout
그러면 카드번호를 입력하라고 뜬다.
카드번호를 입력하고 구매하면 완료.
그러면 구매 시 입력한 이메일 주소로 mint mobile 구매 인증 메일이 날라온다.
거기 적힌 "Activate eSIM" 을 눌러서 eSIM 활성화 하러 고고.

그러면 Mint Mobile 앱 설치화면으로 연결될거다.
앱 설치도 고고.
참고로 애플 한국 앱스토어에도 있다.
설치 후 앱을 실행하고 eSIM을 활성화하려 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뜬다.




여기에서 나는 한국에서 진행해서 그런지, eSIM 을 activate 하는 중이라는 메세지가 뜨다가 'error' 발생 메세지가 떴다..!
그래서 다시 앱 종료하고.. 다시 activate 누르니 그냥 무한 대기중 빙글빙글..😵💫😵💫
이게 맞나.. 싶을 정도로 한참 기다렸더니 (화면 안꺼지게 터치도 해주고) 어느 새 등록 완료되어 아래 창이 떴다.
한국에서 진행하시는 분들은 참고 하시면 좋을 것 같다. 기다리자..!
(아니면 VPN 등으로 잠시 미국 IP를 잡는것도 방법일듯..)



듀얼심을 모두 사용한다고 기기를 설정하면, 위 캡쳐와 같이 우상단에 안테나가 2줄이 된다.
각각 하나는 메인 통신사, 다른 하나는 서브 통신사이다.
설정에서 어느 통신사로 모바일 사용을 할 것인지 설정할 수 있고, 메인이 무엇인지 설정할 수 있다.
한 폰에서 2개 통신사 연결이 되니 편하구만.. ㅎㅎ 이전에 일본있을 때는 꼭 유심을 바꿔줘야 했는데.
이렇게 개통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민트모바일에서 개통축하 문자 메세지도 온다.
따로 로밍요금제를 신청하지 않았지만 문자 수신 정도는 되는 듯 하다.
이후 각종 신청 시 한국에서도 문자 인증이 제대로 날라왔었다.
'소소한 일상 > 2025 미국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미국생활 준비] ESTA 발급 (0) | 2025.01.28 |
---|---|
[2025 미국 J1 비자 준비] 5. Visa 인터뷰 (2) | 2025.01.23 |
[2025 미국 J1 비자 준비] 4. 비자 발급 수수료 납부 (0) | 2024.12.23 |
[2025 미국 J1 비자 준비] 3. DS-160 작성 (2) | 2024.12.22 |
[2025 미국 J1 비자 준비] 2. SEVIS FEE 납부 (I-901) (2) | 2024.12.20 |
[2025 미국생활 준비] ESTA 발급
얼마전까지만 해도 J1 발급 준비 해서 발급도 받은 사람이 갑자기 웬 ESTA 냐 물을 수 있는데..
아직 J1으로 입국할 수 있는 날짜가 되지 않았는데, 미국에 입국할 일이 생겼다.
(J1 비자 입국 가능일은 DS-2019 시작 날짜로부터 30일 전~15일 후 이다. 되도록 시작 날짜 이전 입국하는 것이 좋으며, 학교/기관 등에 따라 시작 날짜 이후 입국도 가능하다고는 하나 이는 기관에 문의 필요하다.)
그래서 ESTA도 신청해보는 ESTA 신청 후기 되겠다.
ESTA 는 엄밀히 말하면 비자가 아니라, '무'비자로 미국을 여행할 수 있게 해주는 '전자여행허가서' 이다.
매우 많은 사람들이 'ESTA 비자는 어떻게 받아요?' 라고 물어보는데 ESTA는 비자는 아니다.. 그냥 미국을 잠시 여행할 수 있게 해주는 허가서일 뿐.
그리고 ESTA는 "에스타" 라고 읽는다. 이스타가 아니더라...
ESTA를 발급받게 되면 발급일로부터 2년 내에 미국에 입국이 가능하고, 한 번 입국 시에 최대 90일 까지 미국에 체류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이론상으로는 89일 체류하고 잠시 멕시코 같은데 나갔다가 다시 들어오면 리셋되어 다시 90일을 체류할 수 있지만.. 추천하지 않는다.
추천하지 않는 이유는
1. 90일을 꽉 채워서 체류하면, 다음 번 미국 입국 시 심사관에 따라 까다롭게 심사할 수 있다.
2. 잠시 출국했다가 다시 재 입국하면 입국심사관 입장에서 '이 사람은 미국에 말뚝박으려고 하는구나(이민의도)' 라는 생각이 들 수 있다. 이는 입국 거절로 이어질 수 있고, 한 번 미국 입국을 거절당하게 되면 추후 미국 비자 발급에 매우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 특히 미국 방문이 단순 여행/비즈니스 목적이 아닌 걸로 오해를 살 수 있다.
3. 90일 꽉 채워서 체류하려다가 내 문제가 아닌 사유로 (ex. 비행기 연착, 갑작스러운 부상/질병 등) 출국이 지연되어 91일 이후 출국하게 되면, 결국 '미국 불법체류자' 가 되어 추후 비자발급과 미국입국이 매우 어려워진다.
따라서 타당한 장기체류 사유가 있을 경우 적법한 비자를 받아 체류하도록 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미국에 특별한 사유 없이 장기체류를 하지 않도록 하자. 재 입국 시에는 2달 이상 텀을 두는게 좋다. 보통 미국 체류한 만큼 다른 나라에 체류하라고 하더라. 80일 미국 체류했다면 미국 밖에서 최소 80일 이상 체류 이런식으로..
당신이 미국 국익에 매우 대단한 이득이 되는 사람이 아니라면... 입국/비자 관련해서는 보수적으로 접근하는것이 좋다.
참고로 여기서 미국 국익에 대단한 이득이 되는 사람의 기준은 노벨상 수상자쯤 되려나... 아님 애플급 회사 사장이 회사 법인 들고 이민한다든가...
잡소리가 길어졌다.
ESTA는 아래 사이트에서 신청 가능하다.
Official ESTA Application Website, U.S. Customs and Border Protection
Official ESTA Application Website, U.S. Customs and Border Protection
esta.cbp.dhs.gov
들어가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나온다.
우상단의 언어설정에서 '한국어' 로 변경 후 '신규 신청서 작성'
혼자 신청하면 '개인', 여럿이서 한꺼번에 신청하면 '그룹' 이라 생각하는데 웬만하면 각자 작성.
어쩌구저쩌구 경고 메세지 2개 있다.
둘다 '예 (동의)' 클릭 후 다음 클릭.
그러면 여권을 업로드하라고 한다.
여권을 업로드 하고 나서 정보 확인 후 '내 신청서에 추가'클릭
여기서부터 모든 내용은 ‘영어’ 로 작성 필요하다.
그러면 기본 정보들이 어느정도 자동으로 입력된다.
필수 항목들을 입력 후 다음을 클릭해서 이메일 주소를 인증한다.
이메일 주소 인증을 누르면 4자리 코드가 이메일로 날아오는데, 오지 않았다면 스팸함도 확인해본다.
입력 후에는 아래와 같이 항목들이 뜬다.
전부 입력하고 '다음' 클릭
GE/NEXUS/SENTRI 멤버십은 이게 뭔지 모르신다면 > 아니오 선택 하시면 됩니다..ㅋㅋ
저도 뭔지 모르겠어요 -_-
(위 캡쳐는 질문의 일부일뿐 전체가 아닙니다)
전부 입력하고 '다음' 클릭
(위 캡쳐는 질문의 일부일뿐 전체가 아닙니다)
전부 제대로 입력 후 '다음' 클릭
그러면 '신청서 검토' 화면이 나와서 여태까지 입력한 것을 검토할 수 있다.
모든 항목에 대해 검토 후 우하단의 '확인&계속' 을 클릭해줘야 한다.
검토 후 '다음' 클릭
다른 블로그 SOP 에서는 여권번호 입력이 있는거 같은데, 지금(25/1/28) 기준으로는 없어졌나보다..
내용을 최종 검토하고, 아래 '각서' 확인 후 '지금 결제하기' 클릭
원하는 지불방법 선택하고 '계속'
이후 신용카드 또는 페이팔을 입력 후 결제까지 완료하면 아래 창이 뜨면서 완료된다!
시간이 지난 후 확인해보니 아래와 같이 승인되었다!
이제 해당 내용을 출력하여 입국 시 지참하면 된다 😁
'소소한 일상 > 2025 미국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미국생활 준비] 휴대폰 개통 - 민트모바일 (0) | 2025.03.21 |
---|---|
[2025 미국 J1 비자 준비] 5. Visa 인터뷰 (2) | 2025.01.23 |
[2025 미국 J1 비자 준비] 4. 비자 발급 수수료 납부 (0) | 2024.12.23 |
[2025 미국 J1 비자 준비] 3. DS-160 작성 (2) | 2024.12.22 |
[2025 미국 J1 비자 준비] 2. SEVIS FEE 납부 (I-901) (2) | 2024.12.20 |